Categories: People/Company

“한인 디아스포라, ‘헤로니모’ 통해 재조명”

Views: 7

전후석 감독 “인본주의 통한 세계시민화 이뤄야”

*박영주 기자(yjpark@kakao.com)
*MAR 6 FRI. at 6:34 PM CDT

잘나가던 뉴욕 변호사를 그만두고 다큐 ‘헤로니모’를 찍은 전후석 감독은 헤로니모 임의 생애를 담은 이 영화가 전세계 한인 디아스포라들에게 진정한 세계시민으로 거듭나는 계기가 됐으면 하는 바람을 전했다.

쿠바 한인 혁명가의 삶을 다룬 다큐멘터리 ‘#헤로니모’(Jeronimo)를 만든 조셉 전(한국이름 전후석) 감독이 시카고를 방문했다. 3년여에 걸쳐 제작된 이 다큐는 ‘한인 디아스포라’의 어제와 오늘을 통해 내일을 짚어봤다는 후한 평가를 받으며, 지금도 전 세계 각지에서 상영되고 있다.

전날(2월 29일) 한인 2세 등 영어권을 위한 상영에 이어, 한국어권 관객을 위해 지난 1일 시카고 한인문화회관에서 마련된 헤로니모 상영회에서 전 감독을 만났다. 이 다큐는 전 감독이 각본과 제작, 연출을 맡았다.

전 감독은 이 다큐가 “한인 디아스포라에 대한 영화이고, 구체적으로 쿠바 한인사를 대변하는 헤모니모 임 선생님의 이야기”라고 정의했다. 고국을 떠나 험난한 삶을 살았던 유대인처럼, 해외에 거주하는 한인들 삶 자체가 ‘디아스포라’이고, 우연히 알게 된 헤모니모 임(한국명 임은조. 1926~2006년)의 생애를 통해 이 굴곡의 역사를 짚어보고자 했다는 게 전 감독의 다큐 제작 취지이다.

헤로니모 임은 일제 치하 독립운동사의 한 페이지를 장식한 아버지 임천택(1900년 초 멕시코 이민)의 장남으로서 피델 카스트로, 체 게바라 등과 함께 쿠바 혁명에 직접 참가해 쿠바 산업부 차관까지 지낸 인물이다. 쿠바한인회장을 역임하는 등 말년에는 쿠바 한인들의 ‘정체성’ 확립을 위해 노년을 바쳤다. 평생 혁명가였지만, 한국 방문 이후 ‘혁명’보다 ‘한인의 삶’에 더 천착했다고 다큐는 말하고 있다.

다큐를 관통하는 디아스포라를 전 감독은 어떻게 생각할까? 그는 “본국 밖에 사는 사람들이란 의미인 디아스포라 속성 자체에 현지인이면서 한국인인 이중 정체성을 초월하는 또 다른 ‘혁신’이 있다고 생각한다”며 “코리안 디아스포라들이 현재 남북 또는 좌우로 대치된 코리아를 극복하는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다큐를 만들게 된 계기는 우연이었다. 쿠바 여행을 갔는데 공항에 그를 데리러 온 택시기사가 한인 3세였던 것. 그가 바로 헤로니모 임의 손녀였다. 거기서 그의 가족들을 만나고 자료를 접했다. 오랫동안 한인 디아스포라의 정체성을 고민하던 전 감독 입장에서 헤로니모야말로 ‘한인 디아스포라 삶’ 자체였고, 결국 영화화를 결심했다.

그는 “헤로니모 임을 만났을 때 이 사람은 디아스포라에 대한 정의를 알고 있겠다 생각했다”며 “제가 생각하는 디아스포라는 100% 한인, 100% 현지인, 100% 세계인의 삶을 사는 것인데, 헤로니모 선생님이 그런 분이라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영화에서 말하고 싶었던 것도 결국 가장 중요한 것은 민족주의나 애국주의보다 인본주의적인 삶을 살아가는 것이고, 이를 통해 세계시민(Global citizenship)이 되는 것이었다는 게 전 감독의 설명이다.

영화를 본 관객들 반응은 뜨겁다. 스토리가 유려하고, 구성은 오밀조밀하다. ‘컴백홈’(서태지와 아이들) 같은 삽입곡은 때로 익살맞다. 중간중간 배는 감동은 이 영화의 또다른 장점이다. ‘쿠바 한인 혁명가’의 이념 색채는 과하지 않게 윤색됐다.

편향되지 않은 영화평도 이런 이유 때문으로 보인다. 제작 초기 다큐 제작을 비난했던 샌디에이고의 옛 쿠바 한인들이 영화를 보고 “쿠바에 남은 한인들을 존경하게 될 줄 몰랐다, 왜 그들이 사회주의 체제 안에서 싸우며 이상을 실현하려 노력했는지 알 것 같다”고 격려한 것도 그런 반응 중 하나. 전 감독은 “그분들이 저한테 ‘고맙다’고 한 게 제게는 가장 큰 감동이었다”고 당시를 전했다.

영화 밖 현실에서 ‘헤모니모 임’의 삶을 살아가는 사람을 만난 적이 있느냐는 질문에, 전 감독은 한국학교 선생님들을 꼽았다.

“저는 사실 한국학교 선생님들을 숨은 영웅이라고 생각합니다. 미국 전역 1,000여 개 한국학교에서 토요일마다 자기 시간을 내 아이들에게 한글과 한인 정체성을 가르치는 선생님들이야말로 헤로니모 임같다고 자주 생각합니다.”

영화 ‘헤로니모’는 더 많은 사람과 만나기 위해 ‘감독판’(director’s cut)을 USB에 담아 온라인 판매될 예정이다. 한국어와 영어, 스페인어 자막을 넣어 이르면 4, 5월께 출시된다.

© 2020 박영주의 시카고오늘

yjpark

Recent Posts

정체성 조명 ‘한인 이민자 이야기’ 행사 4월 19일 개최

세대를 아우르는 한인 이민자들 만남과 문화 교류의 장 기대 박영주 기자(yjpark@kakao.com) MAR. 28 2025. FRI…

8시간 ago

폭스 강 발견 유골 42년 전 미제사건 실종자 것 확인

“1983년 실종 여성 것 맞다” 검시소 공식 발표…용의자 밝혀지나 박영주 기자(yjpark@kakao.com) MAR. 28 2025. FRI…

21시간 ago

미 판사, 오픈AI 상대 신문사 저작권 소송 진행 허용

뉴욕타임스 ”AI 챗봇 훈련 기사 도용“…오픈AI “공정 사용 기반” 박영주 기자(yjpark@kakao.com) MAR. 27 2025. THU…

1일 ago

아마존 스프링 세일 2025, IT·가전·화장품·아웃도어까지 할인 대축제

최신 테크, 뷰티, 캠핑 필수품… 아마존 스프링 세일로 봄맞이 쇼핑 즐기기 지금부터 3월 31일까지, 애플·다이슨·솔로…

1일 ago

라스베이거스 테슬라 방화 총격 테러 용의자는 한인

36세 폴 킴 무장 도착 화염병으로 매장 공격… DNA 증거로 특정 미국 내 테슬라 시설…

1일 ago

올랜드 파크 다운타운 재개발 착공… 도심 확 바꾼다

1억 2천만불 프로젝트, 2027년 가을 완공 목표 공공-민간 파트너십 가동 오로라 블루밍데일 나일스 등 다른…

1일 ago